본문 바로가기

welcome to basketball/풋내기슛

슬램덩크로 배우는 농구 용어집

반응형

슬램덩크 도입부

 

이 글은 농구나 NBA에 이제 막 입문한 분들을 위해 농구 관련 글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을 정리한 글이다.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유명한 농구 만화 슬램덩크의 이미지를 함께 넣어 재미를 더했다. 농구 용어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부담 없이 즐겁게 읽을 수 있길 바란다.

 

1. 기본 경기 용어

농구의 기본 기술, 포지션, 규칙으로 나누어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용어들을 소개한다.

 

1.1 기본 기술

농구에서 기본기라 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슛-드리블-패스-리바운드-블록-스틸 6가지가 농구의 모든 플레이의 근간이 된다.

 

슛 (Shot)

01
점프 슛하는 신준섭과 레이업하는 정우성

 

공을 상대편 골대에 넣는 동작으로, 거리가 있는 상태에서 골대를 향해 던지는 점프 슛과, 골대를 향해 공중으로 뛰어올라 공을 넣는 레이업-슛이 있다.

 

드리블 (Dribble)

드리블하는 송태섭

 

공을 바닥에 튕기면서 이동하는 동작으로, 우리 편 코트에서 상대편 코트로 넘어갈 때 필요한 기술이다.

 

패스 (Pass) 

패스하는 윤대협

 

다른 선수에게 공을 전달하는 동작으로, 우리 팀 선수의 위치를 향해 정확하게 던져야 한다.

 

리바운드 (Rebound)

리바운드 하는 채치수

 

상대편 골대에 슛 시도가 실패한 후, 떨어지는 공을 잡는 동작으로 리바운드를 제압하는 자가 경기를 지배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기술.

 

블록 (Block)

블록하는 변덕규

 

블록슛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상대가 던진 공을 쳐내는 동작으로 우리 편 골대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다.

 

스틸 (Steal)

특별 출연 가비지타임 '씬 스틸러' 기상호

 

 상대의 공을 빼앗는 동작으로, 주로 드리블하는 선수나 패스 타이밍을 읽어 공을 빼앗는다.

 

1.2 포지션

농구 코트에 나서는 5명의 선수들의 수행 능력에 따라 포지션을 구분한다. 포지션 구분은 크게 가드, 포워드, 센터로 구분되며 그 안에서도 세분화 된다. 세분화 된 포지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번 . 포인트 가드 (Point Guard / PG)

북산의 포인트 가드, 송태섭

 

팀의 공격을 이끄는 코트 위의 사령관으로 불리며, 빠르고 드리블과 패스 능력이 좋은 선수가 주로 맡는 역할이다. 팀의 돌격 대장이자, 전술의 핵심이다. NBA에서 유명한 선수로는 크리스 폴, 스테판 커리 등이 있다.

 

2번. 슈팅 가드 (Shooting Guard / SG)

북산의 슈팅 가드, 정대만

 

농구의 승패를 결정 짓는 데 중요한 요소인 득점을 올릴 수 있는 슈팅 능력이 가장 뛰어난 선수가 맡는 역할이다. 우수한 중, 장거리 슈팅 능력을 가졌으며 팀 공격의 마무리를 책임진다. NBA에서 유명한 선수로는 마이클 조던, 코비 브라이언트 등이 있다.

 

3번. 스몰 포워드 (Small Forward / SF)

북산의 스몰 포워드, 서태웅

 

팀 내에서 내-외곽을 가리지 않고 공격과 수비를 소화할 수 있는 선수가 맡는 역할이다. 가장 다재다능한 선수가 주로 맡게 되며, 슛, 패스, 리바운드 등 모든 능력이 고르게 필요하다. NBA에서 유명한 선수로는 르브론 제임스, 래리 버드 등이 있다.

 

4번. 파워 포워드 (Power Forward / PF)

북산의 파워 포워드, 강백호

 

리바운드와 골밑 득점에 강점을 보이는 선수가 맡는 역할이다. 힘과 기술을 동시에 요구하며 센터와 함께 팀의 골밑을 책임진다. NBA에서 유명한 선수로는 팀 던컨, 데니스 로드맨 등이 있다.

 

5번. 센터 (Center / C)

북산의 센터, 채치수

 

골밑 근처에서 수비와 득점을 담당하며 팀 내에서 가장 큰 선수가 주로 맡는 역할로, 팀 수비의 최종 저지선 역할을 한다. 팀의 중심을 잡아주며, 수비 리더가 맡는 경우가 많다. NBA에서 유명한 선수로는 샤킬 오닐, 하킴 올라주원 등이 있다.

 

이처럼 세분화 된 포지션은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파워 포워드, 센터로 나뉘며 숫자로 부를 경우 1번(포인트 가드), 2번 (슈팅 가드) 이런 식으로 순차적으로 넘버링 한다. 만약 "저 팀은 1번은 좋은데 5번이 약해" 라고 한다면 포인트 가드는 좋지만 센터는 약하다는 의미다.

 

하지만 현대 농구에서는 선수들의 신체 조건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포지션 구분이 점점 의미를 잃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다섯개의 포지션 대신, 볼 핸들러 (공을 다루는 역할)-스윙맨 (다양한 포지션을 오가는 선수)-빅맨 (골밑을 담당하는 선수)로 나누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1.3 농구 규칙

일반적으로 농구 규칙을 말할 때 국제 농구가 기준이 된다. NBA는 FIBA와 다른 독자 규격을 사용하는 데, 큰 차이는 없다.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해보았다.

 

규칙 항목 국제 농구 (FIBA) NBA 농구
경기 시간 4쿼터 × 10분 (총 40분) 4쿼터 × 12분 (총 48분)
타임아웃 각 팀당 2분 타임아웃 1회, 1분 타임아웃 2회 각 팀당 1분 타임아웃 3회, 20초 타임아웃 2회
공격 시간 24초 24초 (공격 시간이 14초로 갱신되는 경우도 있음)
리바운드 공이 골대에 맞고 난 뒤 14초 공격 시간 갱신 공이 골대에 맞고 난 뒤 14초 공격 시간 갱신
(일부 경우 24초로 갱신)
자유투 슛을 하려고 했을 때 파울 시 2회 자유투
(3점 슛 시 파울 시 3회 자유투)
슛을 하려고 했을 때 파울 시 2회 자유투
(3점 슛 시 파울 시 3회 자유투)
3점슛 3점선은 6.75미터 3점선은 7.24미터
파울 제한 5반칙 퇴장 6반칙 퇴장
디펜시브 3초 없음 수비수가 3초 동안 페인트존에 머물면 반칙
점프볼 매 쿼터 시작 시 점프볼로 시작 첫 시작 시 점프볼로 경기를 시작,
이후 점유권 변경은 번갈아 진행
플래그런트 파울 /
테크니컬 파울
심각한 반칙 시 공격팀에 자유투와 공격권 부여, 불쾌한 언행 시 테크니컬 파울로 자유투 제공 동일
속공 / 공격권 교체 공이 백코트에서 프론트코트로 넘어가야 하는 시간은 8초, 점유권 변경 시 상대 팀에게 공을 넘김 동일

 

2. 전술 및 코트 용어

모든 스포츠가 그렇듯이, 농구도 공격과 수비 두 가지 전술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농구 코트에 대한 용어도 있는데, 그것도 링크로 달아두겠다.

 

2.1 전술 용어

2020.02.16 - [welcome to basketball/풋내기슛] - 승리를 부르는 팀플레이, 전술 [공격 편]

 

승리를 부르는 팀플레이, 전술 [공격 편]

농구는 축구나 야구와 달리, 스타플레이어의 역량이 승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오죽하면 'A급 선수 2~3명보다 S급 선수 1명이 낫다'라는 말이 있을까. 2014-2015 NBA 플레이오프 동부 컨퍼런스 파

seunghyun90.tistory.com

 

2020.02.20 - [welcome to basketball/풋내기슛] - 승리를 부르는 팀플레이, 전술 [수비 편]

 

승리를 부르는 팀플레이, 전술 [수비 편]

"공격은 관중을 부르지만, 수비는 승리를 부른다." 화려한 드리블로 수비수의 발목을 접수하는 앵클 브레이크, 수비수를 앞에 두고 쏘는 터프 샷 등 다양한 공격 기술들은 관중의 환호를 끌어내

seunghyun90.tistory.com

 

2.2 코트 용어

2020.10.05 - [welcome to basketball/풋내기슛] - 농구 코트 기본 용어 정리

 

농구 코트 기본 용어 정리

1. 베이스라인 (Base-Line) 코트를 구분하는 골 뒤쪽에 있는 라인. '엔드 라인'이라고도 한다. 2. 노 차지 존 (No Charge Zone) 공격수가 팔이나 다리를 부당하게 사용하는 정도가 아니라면 수비수와 신체

seunghyun90.tistory.com

 

3. 고급 용어

3.1 경기 통계 

용어  설명
Points (PTS) 득점. 선수가 기록한 총 점수
Field Goal Percentage (FG%) 야투 성공률. (성공한 슛 수 ÷ 시도한 슛 수) × 100
Three-Point Percentage (3P%) 3점슛 성공률. 3점슛 성공 개수를 전체 시도 개수로 나눈 값
Free Throw Percentage (FT%) 자유투 성공률. 자유투 성공 개수를 전체 시도 개수로 나눈 값
Rebounds (REB) 리바운드 개수. 공격 리바운드(ORB)와 수비 리바운드(DRB)로 나뉨
Assists (AST) 어시스트 개수. 팀원의 득점을 돕는 패스를 성공시킨 횟수
Steals (STL) 상대방의 공을 가로채는 횟수
Blocks (BLK) 상대의 슛을 직접 막아내는 횟수
Turnovers (TO) 실책. 패스 미스나 공을 빼앗기는 등의 실수 횟수
Double-Double 한 경기에서 두 가지 주요 통계 항목에서 10 이상 기록
Triple-Double 세 가지 주요 통계 항목에서 10 이상 기록. 슈퍼스타의 증표
Plus/Minus (+/-) 선수가 코트에 있을 때 팀의 득점과 실점 차이
Player Efficiency Rating (PER) 선수의 전반적인 경기력을 수치화한 종합 지표
Usage Rate (USG%) 선수가 공격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True Shooting Percentage (TS%) 야투, 3점슛, 자유투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슛 성공률

 

3.2 특수 상황

일반적인 경기 흐름에서 나오는 상황이 아닌 특수한 경우에만 나오는 상황들에 쓰이는 용어들이 있다.

 

버저비터 (Buzzer Beater)

백호의 버저비터

 

슬램덩크 산왕전, 승리를 결정짓는 장면이다. 종료 1초를 남겨두고 던진 백호의 슛은 그대로 림을 통과한다. 그리고 심판의 종료 휘슬이 울리며 북산이 산왕을 잡는 이변을 연출한다. 이처럼 경기 종료 직전에 결정적인 득점을 성공 시키는 슛을 버저비터라고 한다.

 

테크니컬 파울 (Technical Foul)

테크니컬 파울 당하며 퇴장 당하는 변덕규

 

능남과 해남의 경기 중 능남의 변덕규가 자신의 파울이 불리자 심판에게 거세게 항의 하는데, 이로 인해 테크니컬 파울을 받게 된다. 스포츠맨십에 어긋나는 행위를 할 경우 주어지는 페널티다.

 

플래그런트 파울 (Flagrant Foul)

팔꿈치로 서태웅을 가격하는 남훈

 

테크니컬 파울과 달리 플래그런트 파울은 고의적이고 위험한 신체 접촉에 대한 페널티다. 슬램덩크에서 풍전의 '에이스 킬러' 남훈이 북산의 서태웅의 기세를 꺾기 위해 팔꿈치를 사용해 얼굴을 가격하는데, 심판이 이를 봤다면 플래그런트 파울로 이어지는 심각한 파울 행위이다.

 

차징 (Charging)

덩크를 성공시키는 강백호. 그러나...

 

공격자가 수비자에게 돌진해 충돌을 일으킬 때 발생하는 반칙. 수비보다 공격이 유리한 농구 특성 상 공격자 파울은 잘 나오지 않지만, 공격자가 무리해서 수비자에게 부딪히면 파울이 된다.

 

 

 

이로써 필자가 준비한 농구에 대한 기본 용어집은 끝났다. 이 글이 농구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농구는 그 자체로 매력적인 스포츠이며, 용어와 규칙을 잘 이해하고 나면 경기를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물론,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점차적으로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앞으로도 농구에 대한 더 많은 정보와 팁을 제공할 예정이니, 궁금한 점이나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길 바란다. 즐겁게 농구를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시간을 보내자!

반응형